Essential Grammar

현재완료 시제, 왜 이렇게 어려울까?

grammarletter 2025. 4. 14. 11:28

영어 시제 중에서 사람들이 가장 어렵다고 느끼는 시제.

바로 **현재완료(Present Perfect)**다. 문장 구조는 사실 단순하다.
have/has + 과거분사(p.p.)

  • I’ve eaten.
  • She has gone.
  • We’ve talked.

하지만 막상 쓰려고 하면 머릿속이 복잡해진다. 과거랑 비슷한 것 같기도 하고, 현재랑도 엮여 있는 것 같고.

왜 이렇게 헷갈리는 걸까?


우리말에는 없는 개념

현재완료가 헷갈리는 가장 큰 이유는,
우리말에는 없는 시간 개념이기 때문이다.

예를 들어 “나는 그 영화를 봤어”라는 말을 영어로 하면,

  • I saw that movie. (과거형)
  • I’ve seen that movie. (현재완료)

이렇게 두 가지 표현이 가능하다.

우리말은 ‘봤어’라고 하나로 표현하지만,
영어는 그 일이 지금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따라 시제를 달리 쓴다.


현재완료의 핵심: “지금까지 영향이 있는가?”

현재완료는 말 그대로, 과거에 일어난 일이 지금까지 영향을 주는 경우에 쓴다.

영어식 사고에서는 "지금에 관련 있는 과거"를 구분해서 표현하려는 감각이 있다. 그래서 현재완료는 단순한 과거형과 다르다.


현재완료의 네 가지 대표 쓰임

1. 경험 (한 적 있다)

  • I’ve been to Tokyo. (도쿄에 가본 적 있다)
  • Have you ever tried this? (이거 먹어본 적 있어?)

이 표현은 과거 시점이 중요하지 않고,
그 일을 했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할 때 쓴다.

2. 완료 (막 ~했다)

  • I’ve just finished my homework. (방금 숙제 끝냈어)
  • He’s already left. (그는 이미 떠났어)

just, already, yet 같은 부사와 함께 자주 쓰이며, 지금 막 일어난 일에 집중할 때 쓴다.

3. 계속 (지금까지 ~하고 있다)

  • I’ve lived here for 5 years. (나는 여기서 5년째 살고 있어)
  • She has worked there since 2019. (그녀는 2019년부터 거기서 일하고 있어)

for + 기간, since + 시작 시점과 함께 쓰이며,
지금까지 이어져 온 행위나 상태를 표현한다.

4. 결과 (지금 상태가 ~하다)

  • I’ve lost my phone. (폰을 잃어버렸어 → 지금도 없다)
  • She’s broken her arm. (그녀는 팔이 부러졌어 → 지금도 부러진 상태)

과거의 사건으로 인해 현재 상태에 변화가 생긴 경우 사용하는 형태다.


현재완료 vs 과거형: 감각으로 구분해보자

  • I lost my phone. → 과거의 사건, 지금은 새로 샀을 수도 있음
  • I’ve lost my phone. → 지금도 못 찾은 상태일 가능성이 높음
  • He left. → 떠난 사실이 중요 (그 시점 강조)
  • He’s left. → 지금 자리에 없다는 게 중요 (결과 강조)

자주 나오는 현재완료 시제 표현들

구분표현예문

완료 부사 just / already / yet I’ve just eaten.
기간 표현 for / since I’ve lived here for 3 years.
경험 강조 ever / never Have you ever been to New York?
최근 의미 recently / lately I’ve felt tired lately.

문법을 넘어서, 언어의 리듬으로

현재완료는 규칙보다 감각으로 이해해야 하는 시제다.

과거에 일어난 일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가? 지금도 그 경험이, 상태가, 감정이 살아 있는가?

그걸 구분할 수 있게 되면, 문법을 넘어서 말의 리듬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.

현재완료는 지금의 나를 설명하기 위한 과거다.
그래서 단순한 시제 이상이다.